JAVA
1995년, 제임스 고슬링 + 동료들에 의해 만들어진 언어
JDK ⊃ JRE ⊃ JVM
JDK(Java Development Kit) - JRE+Kit
JRE(Java Runtime Environment) - JVM, 라이브러리, 각종파일 포함
JVM(Java Virtual Machine) - 실제 구동하는 환경
컴파일(Compile)이란?
자바 소스코드를 바이트코드로 변화해서 JVM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변환작업
abc.java → abc.class >> JVM[abc.class]
ps) 바이트코드 - 운영체제와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내용으로 생성
변수
package test;
public class study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 변수 선언
a = 10; // 변수 초기화
System.out.println(a);
}
}
변수선언 : 메모리 공간 확보해서 데이터값을 변수명에 넣음
= (대입연산자) (등호기호 아님)
cf) A = B // B를 A에 대입
동일(Equals)하다는 의미는 == 를 사용함
변수 변경
package test;
public class study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 변수 선언
a = 10; // 변수 초기화
System.out.println(a); // 10이 출력됨
a = 50; // 변수 값 변경 10 -> 50
System.out.println(a); // 50이 출력됨
}
}
ps) 변수 선언을 했으면 꼭 변수를 초기화 해주어야한다
초기화 안하면 컴파일 에러가 난다
변수 타입
분류 | |
정수 | byte, char, short, int, long |
실수 | float, double |
논리 | boolean |
문자 | char, String |
= 실무에서 자주 쓰이지 않는 변수타입
=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변수타입
문자타입
하나의 문자를 ‘로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
유니코드가 정수이므로 char 타입도 정수 타입에 속한다
정수타입
자바는 IEEE 754 표준에 근거해서 float 타입과 double 타입의 값을 부동 소수점(floating-point)방식으로 메모리에 저장
논리타입
참과 거짓을 의미하는 논리 리터럴은 true와 false
문자열타입
“로 감싼 문자들을 문자열이라고 하며 String 사용함
ps) 문자를 다룰 때는 문자 하나든 문자열이든 모두 String 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문자 하나를 표현하는 일은 거의 없다.
cf) String a = "b"
리터럴(literal)
개발자가 직접 입력한 고정된 값
int a = 10 // 10은 정수 리터럴
double b = 2.0 // 2.0은 실수 리터럴
// 직접 입력된 값 = 리터럴
자동 타입 변환
실수 타입은 정수타입보다 범위가 더 크다.
cf) byte < short, char < int < long < float < double
1 2 2 4 8 4 8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형(type)변환 = Casting (1) | 2024.02.25 |
---|---|
[JAVA] 반복문(for) (1) | 2024.02.25 |
[JAVA] 삼항 연산자, 반복문(while, do-while, Switch, break, continue) (1) | 2024.02.24 |
[JAVA] 조건문 (0) | 2024.02.24 |
[JAVA] 연산자 (1) | 2024.02.24 |